SQLD [SQL 개발자] ❓
SQL(Structured Query Language)의 정의는 데이터베이스를 직접적으로 액세스 할 수 있는 언어로, 데이터를 정의하고(Data Definition), 조작하며(Data Manipulation), 조작한 결과를 적용하거나 취소할 수 있고(Transaction Control), 접근권한을 제어하는(Data Control) 처리들로 구성된다.
여기서 SQL 개발자(SQLD*, SQL Developer)란 데이터베이스와 데이터 모델링에 대한 지식을 바탕으로 응용 소프트웨어를 개발하면서 데이터를 조작하고 추출하는 데 있어서 정확하고 최적의 성능을 발휘하는 SQL을 작성할 수 있는 개발자를 말한다.
출처: https://dataq.or.kr/ [한국데이터산업진흥원]
엄청 어려운 지식을 요구하는 자격증도 아니고 이 자격증을 취득한다고 데이터베이스 실력이 향상되는 것도 아니지만 다양한 기업들이 Oracle, My SQL, MSSQL서버, Mongo DB등 다양한 DBMS를 사용하는 환경에서, 비단 IT직군뿐만이 아닌 일반직원들도 이제는 SQL 쿼리문을 통해 자사의 내부 데이터를 추출하고, 분석할 줄 알아야 하고, 그것을 사용할 수 있는 역량을 갖췄다는 것을 방증하는 자격증이라고 생각합니다.
데이터 자격검정 사이트에서 언급하듯이 기본 지식이 있는지? 기본 지식을 활용할 수 있는지?를 요구하기 때문에 기본지식이 있고, 활용할 수 있는지를 보여주기 위하여 시험을 봤습니다.
시험 개요
시험 시간 : 90분
배점 : 100점(데이터모델링의 이해 20점 + SQL 기본 및 활용 80점)
합격 기준 : 60점이상
책 & 공부법
소위 '노랭이'으로 유명한 [SQL 자격검정 실전문제]를 사 실전 문제를 풀어가며 빠르게 머릿속에 집어넣었습니다. SQLD시험은 범위가 넓지만 문제의 깊이가 얕다는 것이 특징입니다.
모르면 아예 손도 못 대는 문제들이 있지만 조금이라도 알면 맞출 확률이 기하급수적으로 올라갑니다.
그만큼 난이도가 쉽기 때문에, 얕게라도 아는 것이 좋다고 생각합니다.
공부법
1 과목과 "데이터 모델링의 이해" 2 과목 "SQL 기본 및 활용" 2개의 과목에서 실수를 많이 했습니다.
하지만 합격 기준인 60점을 넘기고 높지는 않지만 낮지도 않은 점수를 받았습니다.
앞서 말했다시피 어려운 자격증이 아니기도 하고, 전공자이기 때문에 쉽게 생각해서 여유롭게 공부기간을 3주로 잡았습니다.
- 네이버 카페 - 데이터 전문가 포럼
- 위키독스 - SQL전문가 되어보기
- Youtube - SQL전문가 정미나
생각보다 많은 범위 때문에 당황을 했지만 모르는 문제나 개념들을 인터넷에서 쉽게 찾아볼 수 있고, 자료또한 많기 때문에 위와 같은 사이트나 자료들을 찾아 볼 수 있었기 때문에 실습 문제를 풀다가 헷갈리거나 모르는 문제가 있으면 참고해서 개념을 정리했습니다.
처음 공부시작한 기간과 시험 5일 전까지 위와 같은 유용한 사이트와 자료가 많기 때문에 개념을 처음에 다시 잡고 문제를 풀고 다시 모르거나 헷갈리거나 틀린 부분을 체크✅ 해서 따로 정리를 해놓았습니다.
그 뒤 시험 5일 전 모의고사나 이전 시험들의 문제복원을 풀기 전에 정리본을 한번 보고, 남은 기간 동안 계속해서 문제를 풀었습니다.
느낀 점
앞서 말했다시피 개발자 커리어나 경력에 크게 도움이 되는 자격증은 아니라고 생각합니다.
더불어 SQLD를 땄다고 해서 sql을 잘한다 쿼리를 잘 다룬다고 할 수 없지만 시험 이름에서도 보이다시피 sql 개발자이기 때문에 이제 시작인 느낌이 들었습니다.
능력 있는 개발자가 되기 위해는 갈길이 멀지만 이번 "SQLD"를 통해 다시 한번 기초를 다지고, 개념을 정리할 수 있어 좋은 시험이었다고 생각합니다.
전공자뿐 아니라 비전공자도 어렵지 않은 시험이라고 생각하기 때문에 시간을 여유 있게 준비하고, 많은 유용한 자료를 활용하면 쉽게 자격증을 취득할 수 있을 것 같습니다.
정말 시간이 없다면 노랑이 책에 있는 문제와 동일한 문제도 나오기 때문에 노랭이 책을 1 회독만 하는 것을 추천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