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요리눅스 시스템에서 파일과 디렉토리는 기본적으로 특정한 접근 권한을 가지며, 이는 보안과 직결됩니다. 하지만 새로 생성되는 파일이나 디렉토리가 항상 원하는 권한을 갖도록 설정하려면 어떻게 해야 할까요? umask(User File Creation Mode Mask) 는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는 핵심 개념으로, 기본 권한에서 특정 권한을 자동으로 제거하여 보안을 강화하는 역할을 합니다. 본 글에서는 umask에 대해서 정리하고자 합니다. umask란❓리눅스에서 새 파일이나 디렉토리를 생성할 때, 기본적으로 적용되는 권한을 제어하는 값이 umask입니다. umask 값은 파일이나 디렉토리가 생성될 때 기본적으로 어떤 권한을 제거할지를 결정합니다. 기본적으로 리눅스에서 새로 생성되는 파일과 디렉토리는 다음..
개요리눅스는 다중 사용자 시스템으로 설계되었습니다. 여러 사용자가 동시에 시스템을 사용하는 환경에서는 파일과 데이터의 안전한 보호가 매우 중요합니다. 이를 위해 리눅스는 파일 접근 권한(File Permission) 시스템을 도입했습니다. 본 글에서는 리눅스의 파일 접근 권한(File Permission) 시스템에 대해서 정리하고자 합니다. 파일 접근 권한의 기본 구조리눅스에서는 모든 파일에 대해 세 가지 범주의 사용자를 구분하여 서로 다른 접근 권한을 부여할 수 있습니다. 1. 소유자 (Owner)파일을 소유한 사용자2. 그룹 (Group)파일에 지정된 그룹에 속한 사용자들3. 기타 사용자 (Others)소유자나 그룹에 속하지 않은 모든 사용자권한의 종류각 범주의 사용자에 대해 다음 세 가지 권한을 설..
개요서버 관리를 하다 보면 특정 작업을 정해진 시간에 자동으로 실행해야 할 때가 있습니다. 예를 들어, 매일 밤 12시에 데이터베이스 백업을 실행하거나, 매주 일요일마다 로그 파일을 정리하는 등의 작업이 있습니다. 리눅스에서는 이런 반복 작업을 자동화할 수 있는 'crontab'이라는 편리한 도구를 제공합니다. crontab이란❓crontab은 리눅스/유닉스 시스템에서 제공하는 작업 스케줄러로, 특정 시간이나 주기적으로 실행해야 하는 작업을 자동화할 수 있게 해주는 도구입니다.기본 문법crontab의 기본 문법은 다음과 같습니다.* * * * *분(0-59) 시간(0-23) 일(1-31) 월(1-12) 요일(0-7) 분(0~59)을 설정. *을 설정한 경우..
개요SQL 쿼리를 작성하다보면, SQL에서 ORDER BY 절은 쿼리 결과를 특정 기준으로 정렬할 때 사용합니다. 이 때 컬럼명 대신 숫자로도 정렬이 가능한데, 본 글에서는 이 숫자로 정렬하는 방식에 대해서 정리하고자 합니다. 위치 기반 정렬이란❓컬럼명 대신 숫자를 사용하여 정렬하는 방식을 위치 기반 정렬(Positional Ordering) 또는 서수 정렬(Ordinal Ordering)이라고 한다고 합니다. 즉, SELECT 문에 나열된 컬럼의 순서를 기준으로 정렬하는 방식입니다.기존 방식SELECT name, age, cityFROM usersORDER BY age;숫자로 정렬SELECT name, age, cityFROM usersORDER BY 2; -- age 컬럼으로 정렬 위 쿼리에서 숫..