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개요
Docker에서 데이터를 영구적으로 저장하기 위한 '바인드 마운트'와 '명명된 볼륨', 이렇게 두 가지 방식이 있습니다. 두 방식 모두 -v 옵션을 사용한다는 점이 비슷해서 종종 헷갈리곤 합니다.
본 글에서 이번 기회에 둘의 차이점을 명확하게 정리해보고자 합니다.
[Docker] 도커 바인드 마운트란 무엇일까❓: 데이터 저장과 실시간 공유
개요Docker로 개발할 때 가장 큰 고민 중 하나는 코드 변경사항을 빠르게 확인하는 것입니다. 변경할 때마다 이미지를 다시 빌드하고 컨테이너를 재시작하는 것은 매우 비효율적입니다. 이런 문
pixx.tistory.com
[Docker] Docker 컨테이너 데이터 관리: 익명 볼륨 vs 명명된 볼륨
개요 [Docker] 컨테이너의 파일시스템 이해하기: 데이터는 어디에 저장될까❓개요Docker 컨테이너를 사용하다 보면 가끔 당황스러운 상황을 마주하게 됩니다. 열심히 저장했던 데이터가 컨테이너
pixx.tistory.com
볼륨 마운트의 차이점 정리
Docker에서 -v 옵션을 사용할 때:
1. 바인드 마운트
docker run -v /host/path:/container/path ...
콜론(:) 앞에 로컬 머신의 경로가 오면 바인드 마운트가 됩니다.
2. 명명된 볼륨
콜론(:) 앞에 경로가 아닌 문자열이 오면 볼륨 이름으로 인식되어 명명된 볼륨이 됩니다.
'TIL,일일 회고' 카테고리의 다른 글
[TIL, 일일 회고] 2025.01.10 - Docker 볼륨의 우선순위: 익명 볼륨이 특정 경로를 보호할 수 있는 이유 (0) | 2025.01.10 |
---|---|
[TIL, 일일 회고] 2025.01.09 - 익명 볼륨의 진짜 가치: 임시 저장소를 넘어선 특정 경로 보호 역할 (0) | 2025.01.09 |
[TIL, 일일 회고] 2025.01.06 - 익명 볼륨의 함정: --rm 옵션 없이 사용할 때 주의사항 (0) | 2025.01.06 |
[TIL, 일일 회고] 2025.01.05 - 데이터베이스 벤더란❓ (0) | 2025.01.05 |
[TIL, 일일 회고] 2025.01.04 - Docker Run의 숨겨진 동작 원리: 이미지 자동 다운로드와 로컬 캐시 (0) | 2025.01.0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