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filter & ▶map 메서드를 활용한 간단한 문제가 있어 정리해보고자 합니다.
문제설명
0번부터 n - 1번까지 n명의 학생 중 3명을 선발하는 전국 대회 선발 고사를 보았습니다. 등수가 높은 3명을 선발해야 하지만, 개인 사정으로 전국 대회에 참여하지 못하는 학생들이 있어 참여가 가능한 학생 중 등수가 높은 3명을 선발하기로 했습니다.
각 학생들의 선발 고사 등수를 담은 정수 배열 rank와 전국 대회 참여 가능 여부가 담긴 boolean 배열 attendance가 매개변수로 주어집니다. 전국 대회에 선발된 학생 번호들을 등수가 높은 순서대로 각각 a, b, c번이라고 할 때 10000 × a + 100 × b + c를 return 하는 solution 함수를 작성해 주세요.
제한사항
- 3 ≤ rank의 길이 = attendance의 길이 ≤ 100
- rank [i]는 i번 학생의 선발 고사 등수를 의미합니다.
- rank의 원소는 1부터 n까지의 정수로 모두 서로 다릅니다.
- attendance [i]는 i번 학생의 전국 대회 참석 가능 여부를 나타냅니다.
- attendance [i]가 true라면 참석 가능, false면 참석 불가능을 의미합니다.
- attendance의 원소 중 적어도 3개는 true입니다.
입출력 예 & 설명

입출력 예 #1
- 예제 1번에서 1등은 6번 학생이지만 전국 대회에 참석 불가능하므로 넘어갑니다. 2등은 2번 학생이고 전국 대회에 참석 가능하므로 1순위로 선발됩니다. 3등은 0번 학생이고 전국 대회에 참석 불가능 하므로 넘어갑니다. 4등과 5등은 각각 4번, 3번 학생이고 두 학생 모두 전국 대회에 참석 가능하므로 각각 2순위, 3순위로 선발됩니다. 3명을 선발하였으므로 6등과 7등은 확인하지 않아도 됩니다. 따라서 10000 × 2 + 100 × 4 + 3 = 20403을 return 합니다.
입출력 예 #2
- 예제 2번에서 1, 2, 3등은 각각 0번, 1번, 2번 학생이고 세 학생 모두 전국 대회에 참석 가능하므로 각각 1순위, 2순위, 3순위로 선발됩니다. 따라서 10000 × 0 + 100 × 1 + 2 = 102를 return 합니다.
입출력 예 #2
- 예제 3번에서 1, 2, 3등은 각각 1번, 3번, 4번 학생이지만 세 학생 모두 전국 대회에 참석 불가능합니다. 다음으로 4, 5, 6등은 각각 5번, 2번, 0번 학생이고 세 학생 모두 전국 대회에 참석 가능하므로 각각 1순위, 2순위, 3순위로 선발됩니다. 따라서 10000 × 5 + 100 × 2 + 0 = 50200을 return 합니다.
나의 풀이

true인 값만 찾기 위해 filter() 메서드를 사용해서 rank의 요소가 attendance와 같다면
즉 rank와 attendance의 길이가 같기 때문에 rank의 인덱스와 attendance의 인덱스를 비교해서 true인 등수만 arr배열에 넣어줍니다.
그리고 ▶sort() 포스팅에서 알아보았던 숫자정렬을 sort의 콜백함수로 받습니다.
그러면 정렬되지 않았던 arr배열이 오름차순으로 정렬되면서 앞에서부터 상위등수가 저장됩니다.

그러면 true인 등수만 arr에 위와 같이 저장된 것을 확인할 수 있는데 우리가 원하는 답은 true인 등수의 인덱스입니다.
true등수의 index를 구하기 위해서 map() 메서드를 사용하여 true의 등수와 rank의 요소가 같을 때 해당 인덱스를 findIndex() 메서드를 사용하여 result에 저장해 줍니다.
테스트케이스 1: [ 2, 4, 3, 1 ]
테스트케이스 2: [ 0, 1, 2 ]
테스트케이스 3: [ 5, 2, 0 ]
result는 위와 같으며 상위 3명을 구해야 하기 때문에 [0], [1], [2] 번째 인덱스에 문제에서 요구한 연산을 수행하여 마무리했습니다.
[JavaScript] Array filter() 사용법과 map()과 차이점
filter() "배열".filter(callBackFunction(currValue, index, array), newValue); filter()는 말 그대로 걸러주는 역할을 하는 함수입니다. 주로 특정 조건을 만족하는 새로운 배열을 필요로 할 때 사용하는 편입니다. ca
pixx.tistory.com
[JavaScript] 정렬 함수 sort() 함수와 toSorted() 함수 알아보기
let numbers = [1, 20, 2, 30, 3, 40, 5, 4]; numbers.sort(); console.log(numbers); // 결과 : [1, 2, 20, 3, 30, 4, 40, 5] sort() 배열.sort([compareFunction]); let alp = ['A', 'C', 'D', 'B', 'E', 'G']; alp.sort() console.log(alp); // 결과 : ['A', 'B', 'C
pixx.tistory.com
'Coding Test > 프로그래머스' 카테고리의 다른 글
[프로그래머스] 배열 조각하기 (JavaScript) (0) | 2024.02.22 |
---|---|
[프로그래머스] 배열 만들기 2 (JavaScript) (0) | 2024.02.21 |
[프로그래머스] 그림 확대 (JavaScript) (0) | 2024.02.19 |
[프로그래머스] 무작위로 K개의 수 뽑기 (JavaScript) (1) | 2024.02.18 |
[프로그래머스] 문자열 뒤집기 (JavaScript) (1) | 2024.02.17 |

▶filter & ▶map 메서드를 활용한 간단한 문제가 있어 정리해보고자 합니다.
문제설명
0번부터 n - 1번까지 n명의 학생 중 3명을 선발하는 전국 대회 선발 고사를 보았습니다. 등수가 높은 3명을 선발해야 하지만, 개인 사정으로 전국 대회에 참여하지 못하는 학생들이 있어 참여가 가능한 학생 중 등수가 높은 3명을 선발하기로 했습니다.
각 학생들의 선발 고사 등수를 담은 정수 배열 rank와 전국 대회 참여 가능 여부가 담긴 boolean 배열 attendance가 매개변수로 주어집니다. 전국 대회에 선발된 학생 번호들을 등수가 높은 순서대로 각각 a, b, c번이라고 할 때 10000 × a + 100 × b + c를 return 하는 solution 함수를 작성해 주세요.
제한사항
- 3 ≤ rank의 길이 = attendance의 길이 ≤ 100
- rank [i]는 i번 학생의 선발 고사 등수를 의미합니다.
- rank의 원소는 1부터 n까지의 정수로 모두 서로 다릅니다.
- attendance [i]는 i번 학생의 전국 대회 참석 가능 여부를 나타냅니다.
- attendance [i]가 true라면 참석 가능, false면 참석 불가능을 의미합니다.
- attendance의 원소 중 적어도 3개는 true입니다.
입출력 예 & 설명

입출력 예 #1
- 예제 1번에서 1등은 6번 학생이지만 전국 대회에 참석 불가능하므로 넘어갑니다. 2등은 2번 학생이고 전국 대회에 참석 가능하므로 1순위로 선발됩니다. 3등은 0번 학생이고 전국 대회에 참석 불가능 하므로 넘어갑니다. 4등과 5등은 각각 4번, 3번 학생이고 두 학생 모두 전국 대회에 참석 가능하므로 각각 2순위, 3순위로 선발됩니다. 3명을 선발하였으므로 6등과 7등은 확인하지 않아도 됩니다. 따라서 10000 × 2 + 100 × 4 + 3 = 20403을 return 합니다.
입출력 예 #2
- 예제 2번에서 1, 2, 3등은 각각 0번, 1번, 2번 학생이고 세 학생 모두 전국 대회에 참석 가능하므로 각각 1순위, 2순위, 3순위로 선발됩니다. 따라서 10000 × 0 + 100 × 1 + 2 = 102를 return 합니다.
입출력 예 #2
- 예제 3번에서 1, 2, 3등은 각각 1번, 3번, 4번 학생이지만 세 학생 모두 전국 대회에 참석 불가능합니다. 다음으로 4, 5, 6등은 각각 5번, 2번, 0번 학생이고 세 학생 모두 전국 대회에 참석 가능하므로 각각 1순위, 2순위, 3순위로 선발됩니다. 따라서 10000 × 5 + 100 × 2 + 0 = 50200을 return 합니다.
나의 풀이

true인 값만 찾기 위해 filter() 메서드를 사용해서 rank의 요소가 attendance와 같다면
즉 rank와 attendance의 길이가 같기 때문에 rank의 인덱스와 attendance의 인덱스를 비교해서 true인 등수만 arr배열에 넣어줍니다.
그리고 ▶sort() 포스팅에서 알아보았던 숫자정렬을 sort의 콜백함수로 받습니다.
그러면 정렬되지 않았던 arr배열이 오름차순으로 정렬되면서 앞에서부터 상위등수가 저장됩니다.

그러면 true인 등수만 arr에 위와 같이 저장된 것을 확인할 수 있는데 우리가 원하는 답은 true인 등수의 인덱스입니다.
true등수의 index를 구하기 위해서 map() 메서드를 사용하여 true의 등수와 rank의 요소가 같을 때 해당 인덱스를 findIndex() 메서드를 사용하여 result에 저장해 줍니다.
테스트케이스 1: [ 2, 4, 3, 1 ]
테스트케이스 2: [ 0, 1, 2 ]
테스트케이스 3: [ 5, 2, 0 ]
result는 위와 같으며 상위 3명을 구해야 하기 때문에 [0], [1], [2] 번째 인덱스에 문제에서 요구한 연산을 수행하여 마무리했습니다.
[JavaScript] Array filter() 사용법과 map()과 차이점
filter() "배열".filter(callBackFunction(currValue, index, array), newValue); filter()는 말 그대로 걸러주는 역할을 하는 함수입니다. 주로 특정 조건을 만족하는 새로운 배열을 필요로 할 때 사용하는 편입니다. ca
pixx.tistory.com
[JavaScript] 정렬 함수 sort() 함수와 toSorted() 함수 알아보기
let numbers = [1, 20, 2, 30, 3, 40, 5, 4]; numbers.sort(); console.log(numbers); // 결과 : [1, 2, 20, 3, 30, 4, 40, 5] sort() 배열.sort([compareFunction]); let alp = ['A', 'C', 'D', 'B', 'E', 'G']; alp.sort() console.log(alp); // 결과 : ['A', 'B', 'C
pixx.tistory.com
'Coding Test > 프로그래머스' 카테고리의 다른 글
[프로그래머스] 배열 조각하기 (JavaScript) (0) | 2024.02.22 |
---|---|
[프로그래머스] 배열 만들기 2 (JavaScript) (0) | 2024.02.21 |
[프로그래머스] 그림 확대 (JavaScript) (0) | 2024.02.19 |
[프로그래머스] 무작위로 K개의 수 뽑기 (JavaScript) (1) | 2024.02.18 |
[프로그래머스] 문자열 뒤집기 (JavaScript) (1) | 2024.02.1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