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개요

수학적인 계산에서 나머지를 구하는 일이 자주 발생합니다.

 

예를 들어, 암호화 알고리즘에서는 큰 수의 나머지 계산이 필수적이며, 어떤 수를 다른 수로 나누고 그 나머지를 구하는 연산은 다양한 분야에서 중요합니다.

 

자바의 BigInteger 클래스는 큰 수를 다루는 데 필요한 여러 연산을 제공합니다. 그 중에서도 mod() 함수에 대해서 정리하고자 합니다.

 

BigInteger 클래스에서 mod() 함수 사용하기

BigInteger 클래스의 mod() 함수나머지 연산을 수행하는 메서드로, 두 BigInteger 객체 간에 나누기 연산을 수행하고 그 나머지를 반환합니다. mod() 함수는 크게 두 가지 주요 기능을 가지고 있습니다.

 

1. 큰 수의 나머지 계산

  • BigInteger를 사용하면 매우 큰 수에 대해서도 나머지 연산을 할 수 있습니다.

2. 음수 처리

  • BigInteger.mod() 함수는 나머지 연산 결과항상 0 이상이 되도록 보장합니다. 이를 통해 음수 문제를 처리할 수 있습니다.

mod() 함수 시그니처 및 동작 방식

BigInteger mod(BigInteger m)

 

  • 매개변수 m: 나누는 값인 BigInteger 객체입니다.
  • 반환 값: 나머지를 계산한 결과인 BigInteger 객체를 반환합니다.

 

mod() 예시 코드

import java.math.BigInteger;

public class BigIntegerModExample {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 두 개의 큰 수 선언
        BigInteger a = new BigInteger("1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
        BigInteger b = new BigInteger("12345");

        // 나머지 계산
        BigInteger remainder = a.mod(b);

        // 결과 출력
        System.out.println("나머지: " + remainder);
    }
}

 

위 코드에서 BigInteger 클래스의 mod() 함수를 사용하여 a라는 매우 큰 수 b라는 작은 수로 나누고 그 나머지를 구하는 예시입니다. 이처럼 BigInteger.mod()는 큰 수를 처리할 때 유용하게 사용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