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ramework

·Framework/Node.js
먼저 환경 변수란? 일반적으로 우리는 코드베이스를 하나만 관리하고, 로컬이 아닌 개발, 운영, 테스트 등 여러 환경에서 애플리케이션을 배포합니다. 어느 환경에서 애플리케이션을 배포하는지에 따라 다르게 값들을 설정해야 하는 항목들은 보통 운영 체제 레벨에서 환경변수를 통해 관리됩니다. 즉 "환경 변수"라는 이름에서 알 수 있듯이 일종의 변수이며, 프로세스가 컴퓨터에서 동작하는 방식에 영향을 미치는, 동적인 값들의 모임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대표적으로 API KEY나 데이터베이스(DB) 설정과 같이 민감한 정보들을 공개된 장소에 올리면 상당히 위험하기 때문에 민감한 정보나 공개되지 않아야 하는 정보들을 환경 변수로 저장해 놓고 사용하는 것이 일반적입니다. 더불어 로컬에서 환경변수로 API Key나 DB정보..
·Framework/Node.js
Non-blocking은 Node.js의 3가지의 큰 특징 중 하나입니다. 동기(Sync), 비동기(Async)와 Non-blocking, blocking은 Node에서 혼용되며 비슷한 느낌으로 사용되고 있습니다. 그러나 네 개의 용어가 다른 만큼 의미상에도 차이가 있습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위 네 개의 용어를 정리해보고자 합니다. 동기(Sync) & 비동기(Async) 동기(Sync), 비동기(Async)를 관점에 따라 분류하자면 "시간에 맞춰서 실행되는지"에 대한 시간 관점의 차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동기(Sync) 작업이 여러 개일 경우 순차적(순서)으로 진행하는 것입니다. 즉 스레드에 A작업은 맡기고 나서 A작업이 끝날 때까지 다른 작업을 하지 못하고 A작업이 끝나면 그때 B작업을 하는 것을 ..
1. 서론 Spring boot에서 어떠한 정보를 출력하고 싶을 때 필요한 정보를 출력하거나 디버깅하지 않고, logging을 이용하여 로그를 남기는 경우가 있습니다. 저처럼 제대로 이해하지 않고 로그를 사용하면 원하는 정보가 나오지 않고 불필요한 연산이 일어나기 때문에 로그의 사용법을 정리하고자 합니다. 로그를 사용하기 전 로그가 무엇인지 알아보자. Log 란? 서버 컴퓨터의 운영 단계에서 사용자에게 시스템이 돌아가는 상황, 행위, 정보, 이벤트를 알려주는 기록이며, 기록된 데이터를 출력한 후 별도로 저장하기 위해 사용합니다. 즉 로그는 기록입니다. 로그를 통해서 프로그램의 상태를 볼 수 잇고, 오류가 발생한 부분에 대해서 쉽게 인지를 할 수있습니다. 따라서 프로그램의 흐름, 예외, 에러 등을 쉽게 인..
지누박
'Framework' 카테고리의 글 목록 (13 Pa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