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ava

·Language/Java
보통 Java에서 정수형을 표현할 때 int형이나 큰 수일경우 long형을 사용합니다. 물론 byte와 short 도 있지만 잘 사용을 하지 않습니다.타입 할당되는 메모리의 크기 표현 범위byte1 byte- 128 ~ 127short 2 byte -215 ~ (215 - 1)-32,768 ~ 32,767 int 4 byte -231 ~ (231 - 1)-2,147,483,648 ~ 2,147,483,647long8 byte -263 ~ (263 - 1)-9,223,372,036,854,775,808 ~ 9,223,372,036,854,775,807  거의 대부분 long 타입으로 표현할 수 있지만 표현 범위를 넘어서는 아주 큰 수를 표현하기엔 한계가 있습니다.  만약에 표현 범위를 넘어서게 된다면 다음..
·자료구조
Java에서는 기본적으로 여러 데이터를 다룰 때 배열을 사용합니다. 그러나 배열은 정적이므로, 한 번 생성되면 크기를 변경할 수 없습니다. 배열은 처리할 데이터의 개수가 정해진 경우에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지만 데이터 개수가 고정되어 있지 않다면 더 큰 배열을 새로 생성하거나, 복사를 해야 합니다. 이러한 작업은 꽤나 비용이 많이 들기 때문에 처음부터 배열의 길이를 넉넉하게 잡아줘서 새로운 배열을 생성하는 상황을 가능한 적게 발생하도록 합니다. 그러나 길이를 너무 크게 잡으면 메모리를 낭비하게 됩니다. 이와 같은 불편한 점을 개선하기 위해 나온 클래스가 바로 "ArrayList"입니다. ArrayList 란 ❓Java에서의 ArrayList는 List 인터페이스를 상속받은 동적 배열을 구현한 클래스로, ..
·Language/Java
형 변환 (캐스팅, casting)모든 변수와 리터럴에는 타입이 있습니다. 코드를 작성하다 보면 같은 타입뿐만 아니라 서로 다른 타입 간의 연산을 할 필요가 있습니다.  이럴 때는 연산을 수행하기 전에 타입을 일치 시켜야 하는데, 이러한 변수나 리터널의 하나의 타입을 다른 타입으로 바꾸는 것을 형변환 또는 타입 변환이라고 합니다.                                         즉 변수 혹은 리터널의 타입을  다른 타입으로 변환하는 것 예를 들어 int타입의 값과 float타입의 값을 연산해야 하는 경우, 먼저 두 값을 같은 타입으로 변환해야 합니다. 따라서 float타입으로 변환을 한 다음에 연산을 해야 합니다. 이때 int 타입이 아닌 float로 타입을 일치시킨 것 처럼 형 ..
·Computer Science
프론트엔드 | 백엔드 일반적으로 프론트엔드(front-end) 와 백엔드(back-end)라는 용어는 프로세스의 처음과 마지막 단계를 가리킵니다. front-end는 사용자로부터 다양한 형태의 입력을 받아 back-end 가 사용할 수 있는 규격, 규칙을 따라 처리할 책임을 집니다. front-end를 back-end로 연결하는 것은 인터페이스의 일종이다. 소프트웨어 공학에서 프론트엔드와 백엔드라는 용어는 소프트웨어의 presentation layer(프론트엔드)과 data access layer(백엔드) 또는 물리 구조 또는 하드웨어 사이의 관심사를 분리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클라이언트 - 서버 모델에서 클라이언트는 일반적으로 프론트엔드로 간주되며 서버에서 실제로 presentation 작업이 수행되는..
지누박
'Java' 태그의 글 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