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il

·TIL,일일 회고
본 글은 AWS SDK에서 aws S3에 대한 요청 객체에 대해서 공부한 내용을 정리한 글입니다. 개요프로젝트에서 파일을 관리할 때 클라우드 스토리지로 많이 사용되는 서비스 중 하나가 Amazon S3입니다. S3는 대용량 파일을 안전하고 효율적으로 저장할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하며, AWS SDK는 S3와 상호작용하기 위한 다양한 API를 지원합니다. 프로젝트를 하다가 S3에 파일을 업로드, 다운로드, 삭제하는 로직을 구현을 해야했습니다. 파일을 업로드, 다운로드, 삭제하는 것은 S3 사용에서 매우 기본적이면서도 중요한 작업입니다. 이러한 작업들을 쉽게 처리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것이 바로 AWS SDK에서 제공하는 요청(Request) 객체들입니다. 이번 글에서는 S3에서 자주 사용되는 요청 객체들인 ..
·TIL,일일 회고
본 글은 @Test 애너테이션에 대해 자세히 알지 못해 이를 공부한 내용을 정리한 글입니다. @Test 어노테이션이란❓@Test 어노테이션은 JUnit 프레임워크에서 테스트 메서드를 정의할 때 사용됩니다. 이 어노테이션이 붙은 메서드는 JUnit 테스트 실행기에서 자동으로 인식되며, 해당 메서드가 테스트 케이스로 실행됩니다.주요 특징 테스트 메서드 표시@Test가 붙은 메서드는 테스트로 간주되며, JUnit에 의해 실행됩니다.Assertions 사용테스트 메서드 내에서는 다양한 assertion 메서드를 사용하여 예상 결과와 실제 결과를 비교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assertEquals, assertTrue, assertNotNull 등이 있습니다.예외 테스트@Test(expected = Ille..
·TIL,일일 회고
nativeQuery란❓nativeQuery는 JPA에서 네이티브 SQL 쿼리를 직접 실행할 수 있도록 하는 기능입니다. JPA는 기본적으로 JPQL (Java Persistence Query Language)를 사용하여 엔티티 기반의 쿼리를 작성하지만, 때로는 복잡한 SQL 쿼리가 필요하거나, 성능 최적화를 위해 데이터베이스에 의존적인 쿼리를 사용할 때가 있습니다. 이럴 때 nativeQuery를 사용하면 JPQL 대신 원래의 SQL 쿼리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JPA에서는 손쉽게 @Query 어노테이션으로 커스텀 쿼리를 작성할 수 있는데, 이 때 옵션으로 "nativeQuery = true"로 설정한다면 네이티브 SQL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  nativeQuery 사용 vs nativeQuery ..
·TIL,일일 회고
문제 상황 @Modifying 어노테이션과 @Query 어노테이션을 사용하여, JPA에서 직접적으로 쿼리를 사용하고 있었습니다. 그러나 위 사진처럼 계속 해서 "SQl dialect is not configured."문구가 계속해서 뜨고있었습니다.  이 문구는 SQL 방언이 구성되어 있지 않다는 의미인데, 현재 yml파일에 위와 같이 dialect: org.hibernate.dialect.PostgreSQLDialect로 지정이 되어있지만 계속해서 밑줄이 그어져있습니다. 문제 해결성능상 문제는 없지만 찝찝하기 때문에 이유를 찾아본 결과 해결 방법은 다음과 같습니다. Settings 창을 열고, 좌측메뉴 Languages & Frameworks > SQL Dialects 메뉴에서 사용중은 Database를..
지누박
'til' 태그의 글 목록 (30 Pa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