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il

·TIL,일일 회고
개요Java에서 문자열의 앞뒤 공백을 제거하는 메서드로 strip()과 trim()이 있습니다. 두 메서드는 비슷해 보이지만, 동작 방식과 처리 범위에서 차이가 있습니다. 본 글에서는 strip 메서드에 대해서 알아보고, trim 메서드와의 차이점에 대해서 정리하고자 합니다. trim() 메서드란❓Java 1.0부터 사용 가능하며, ASCII 공백만 제거합니다. trim() 메서드는 유니코드 공백 문자는 인식하지 못하며, 단순 공백 처리에 적합합니다.public class TrimExample {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String text = " Hello World\u2001"; // 유니코드 공백 포함 System.ou..
·TIL,일일 회고
개요프로그래밍에서 문자를 표현하는 방법에는 여러 표준이 존재하지만, 그중 가장 널리 사용되는 두 가지는 아스키 코드와 유니코드입니다.  아스키 코드는 간단한 문자 표현에 자주 사용되며 익숙하지만, 유니코드는 개념만 알고 정확한 범위나 역할이 모호하여 본 글에서 정리하고자 합니다.  아스키(ASCII) 코드란❓아스키(ASCII)는 영어를 기반으로 한 7비트 문자 인코딩 표준으로, 컴퓨터 시스템에서 문자와 기호를 표현하기 위한 방식입니다. 총 128개의 문자를 지원합니다. 여기에는 영어 대소문자, 숫자, 그리고 특수 문자가 포함됩니다. 아스키 코드는 주로 영어 알파벳과 일부 특수 문자를 다루기 때문에, 다른 언어나 기호를 표현하는 데는 한계가 있습니다. 유니코드(Unicode)란❓유니코드(Unicode)는 ..
·TIL,일일 회고
개요컨테이너 환경에서 데이터의 무결성과 보안을 유지하는 것은 매우 중요합니다. 특히, 데이터를 참조만 하고 수정하지 않아야 하는 경우에는 도커의 읽기 전용 볼륨(Read-Only Volume) 기능을 활용하는 것이 적합합니다. 본 글에서는 도커 읽기 전용 볼륨이 필요한 상황, 설정 방법, 장점과 주의할 점에 대해 정리하고자 합니다. 읽기 전용 볼륨이란❓도커 읽기 전용 볼륨(Read-Only Volume)이란, 말 그대로 컨테이너에서 특정 볼륨에 대해 읽기만 가능하도록 설정한 볼륨을 의미합니다. 이 설정을 통해 컨테이너는 볼륨에 저장된 데이터를 읽을 수만 있고, 수정하거나 삭제할 수는 없습니다. 이는 데이터 무결성을 유지하고 민감한 정보의 변경을 방지하는 데 유용합니다. 읽기 전용 볼륨은 도커에서 볼륨 마..
·TIL,일일 회고
개요리눅스에서 현재 작업 디렉토리의 절대 경로를 참조할 때, 두 가지 주요 방식인 ${PWD}와 $(pwd)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두 방법은 결과적으로 같은 경로를 반환하지만, 동작 방식과 성능에 있어서 약간의 차이가 존재합니다. 이번 포스트에서는 이 두 방법의 차이점을 명확히 정리하고자 합니다. ${PWD}: 시스템 환경 변수 참조${PWD}는 환경 변수를 참조하는 방식입니다. PWD는 리눅스와 macOS 시스템에서 현재 작업 디렉토리의 절대 경로를 담고 있는 자동으로 설정되는 시스템 환경 변수입니다. 즉, PWD는 사용자가 설정하거나 변경할 필요 없이 시스템에서 현재 디렉토리 정보를 자동으로 관리합니다.사용 예시echo "현재 디렉토리: ${PWD}" ${PWD}는 현재 작업 디렉토리의 절대 경로를..
지누박
'til' 태그의 글 목록 (5 Pa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