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요수학적인 계산에서 나머지를 구하는 일이 자주 발생합니다. 예를 들어, 암호화 알고리즘에서는 큰 수의 나머지 계산이 필수적이며, 어떤 수를 다른 수로 나누고 그 나머지를 구하는 연산은 다양한 분야에서 중요합니다. 자바의 BigInteger 클래스는 큰 수를 다루는 데 필요한 여러 연산을 제공합니다. 그 중에서도 mod() 함수에 대해서 정리하고자 합니다. BigInteger 클래스에서 mod() 함수 사용하기BigInteger 클래스의 mod() 함수는 나머지 연산을 수행하는 메서드로, 두 BigInteger 객체 간에 나누기 연산을 수행하고 그 나머지를 반환합니다. mod() 함수는 크게 두 가지 주요 기능을 가지고 있습니다. 1. 큰 수의 나머지 계산BigInteger를 사용하면 매우 큰 수에 대해..
til
개요SQL을 사용하다 보면 특정 연도나 월에 해당하는 데이터를 조회하는 일이 자주 발생합니다. 예를 들어, 매월 데이터를 추출하거나, 특정 연도에 대한 분석을 진행할 때 이러한 조회가 필요합니다. 날짜 데이터를 다룰 때, DATE_FORMAT(), YEAR(), MONTH() 등의 함수와 BETWEEN 연산자, STR_TO_DATE()와 같은 함수들을 활용하면 원하는 데이터를 손쉽게 필터링할 수 있습니다. 본 포스팅에서는 특정 년도와 월에 해당하는 데이터를 조회하는 여러 가지 방법을 정리하고자 합니다. DATE_FORMAT()년-월 포맷으로 비교-- 연도만 비교SELECT * FROM 테이블명WHERE DATE_FORMAT(날짜컬럼, '%Y') = '2022';-- 년월 비교SELECT * FROM 테이..
개요이번 포스팅에서는 Java에서 소수점 반올림하는 방법에 대해서 정리하고자 합니다. Java에서는 소수점을 반올림 하는 방법에는 여러가지가 있지만,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함수는 크게 2가지가 있습니다. 첫 째 Math.round()와 둘 째 String.format()함수입니다. Math.round()Math.round() 함수는 소수점 이하를 반올림하여 가장 가까운 정수로 변환해 주는 함수입니다. Java에서 Math.round()는 float 또는 double 타입의 숫자를 받아 해당 값을 가장 가까운 정수로 반올림합니다. 반올림 규칙은 일반적인 수학 반올림과 같아서, 소수점 이하가 0.5 이상이면 올림을, 0.5 미만이면 내림을 적용합니다.기본 문법// 소수점 이하가 0.5 이상이므로 올림Syste..
개요이전 프로젝트에서 Spring Boot 3.X 버전을 사용하면서 Spring Security와 함께 권한(Role) 기반 접근 제어를 구현한 경험이 있습니다. 이를 통해 얻은 인사이트를 바탕으로 권한 기반 접근 제어(Role Based Access Control, RBAC)와 속성 기반 액세스 제어 (Attribute-Based Access Control, ABAC) 대해 정리해보고자 합니다. RBAC란❓RBAC는 사용자의 역할(Role)을 기반으로 시스템 접근 권한을 관리하는 방식입니다. 예를 들어, '관리자', '매니저', '일반 사용자' 등의 역할을 정의하고, 각 역할에 맞는 권한을 부여할 수 있습니다.1. 핵심 구성 요소 사용자(Users)시스템을 사용하는 실제 사람이나 프로세스역할(Role..